본문 바로가기
부의 인사이트

주식시장에서 복리의 마법을 위해선 인내심과 꾸준함이 필요하다.

by 노후금수저 2023. 9. 4.

안녕하세요. 주식투자 새싹위키입니다.
 
이번 포스팅 주제는 '주식시장에서 복리의 마법을 위해선 인내심과 꾸준함이 필요하다. '입니다. 투자의 꽃은 복리의 마법을 통해서 나온다고 합니다. 하지만 복리의 마법을 받으려면 인내심과 꾸준함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주식시장에서 복리의 마법을 얻기 위한 마인드 셋을 배워볼까요?

 

 

주식시장의 복리의 마법 인내심과 꾸준함이 필요

 

혼란스러운 복리를 이해하기 어려운 건 당신만이 아닙니다. 실제로 복리가 무엇인지 보여주는 간단한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매년 초에 1만 달러를 30년 동안 매수하고 10%를 벌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당신은 30만 달러를 거의 170만 달러로 바꾸었을 것입니다. 30년 동안 두 자릿수 수익을 올리면 그렇게 될 것입니다. 복리에 대해 가장 어려움 중 하나는 가장 큰 수익을 보기 위해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투자 수익은 14년이 지나야 저축한 금액을 초과합니다.

그 시점까지는 투자로 벌어들인 금액보다 저축하는 금액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이것이 복리가 훈련과 인내를 통해서만 작동하는 이유입니다. 최상의 결과를 얻으려면 수십 년을 생각해야 합니다. 예상 수익을 입력할 수 없으며, 매년 수익을 올릴 것이라고 가정할 수 없습니다. 주식시장은 그렇게 작동하지 않습니다.

 

 

 

주식시장에서 복리는 일관성이 없어 더 힘들다


은퇴 계산기에서 복리는 깔끔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주식시장에서의 복리는 지저분하고 울퉁불퉁합니다. 주식시장이 앞으로도 계속해서 10%의 연간 수익률을 제공할지는 모르겠지만, 1992년부터 2021년까지의 30년의 기간을 보면 S&P500이 10%를 약간 넘는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따라서 매년 초에 동일한 1만 달러를 투자하여 주식시장에서 다음과 같은 실제 수익을 올렸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때로는 높고 때로는 낮지만, 확실히 해마다 일관성이 없습니다. 이제 주식시장에 적립식 투자를 한 것과 매년 10%를 이뤘다는 가정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30년 동안 연평균 수익률은 같았지만, 주식시장 투자자의 경험은 결코 순탄하지 않았습니다. 주식시장에 투자하면 추세선보다 훨씬 아래에 놓이게 된 때가 여러 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식은 급하게 따라 잡았고, 결국 일관된 수익 흐름보다 훨씬 더 높아졌습니다. 항상 이렇게 작동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투자타이밍에 따라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인내심과 꾸준함으로 복리를 만들어라

 


때로는 투자 초기가 아닌 마지막에 끔찍한 수익을 얻습니다. 시작 및 종료 날짜와 함께 연 수익률의 순서는 실제 결과를 결정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불행히도 이 과정에서는 타이밍 면에서 운이 많이 따릅니다. 이것이 오래도록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긴 시간 지평선은 실수나 불운을 통해 가질 수 있는 좋지 않은 타이밍을 부드럽게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주식시장에서 복리가 쉽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다음은 1992년 이후 하락폭 그래프입니다. 투자자들이 장기에 걸쳐 주식시장에서 연 10%의 수익률을 올린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고통스러운 조정 때문입니다.

만약 위험이 없다면 수익도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주식시장 침체기 동안 상당한 수입을 저축하는 것의 묘미는 장기적으로 복리를 만드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주식이 하락할 때 직장생활 초기에 하는 지속적인 투자는 복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20년에서 30년 후 당신의 최고의 투자 중 일부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