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투자 새싹위키입니다.
이번 포스팅 주제는 '적립식 투자 vs 마켓 타이밍 투자'입니다. 투자에 정답은 없지만 마음 편한 투자의 길은 있습니다. 우리보는 편안하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길 바랍니다.
적립식 투자 vs 마켓 타이밍 투자
주식시장이 마이너스가 된 다음 해에만 매수했다면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여기 재미있는 실험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년 천 달러를 투자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첫 거래일에 천 달러를 S&P500에 투자하거나 천 달러의 현금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돈을 투자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S&P500이 작년에 어떤 성과를 냈는지 살펴봅니다.
마켓 타이밍 투자전략
만약 S&P500이 전년도 플러스 수익률을 보였다면, 돈을 현금으로 보유합니다. 그리고 S&P500이 작년에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였다면, 천 달러를 S&P500 인덱스 펀드에 투자합니다. 이것은 간단한 마켓 타이밍 전략입니다.
이 전략의 이면에는 주식시장이 전년도에 마이너스 수익률을 경험했다면, 아마도 내년에는 플러스 수익률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논리가 전제되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시장이 매년 무한정 증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아마도 시장이 긍정적인 해에는 이어서 하락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입니다.
Back Testing :
적립식 투자 vs 마켓 타이밍 투자
이 전략이 역사적으로 얼마나 잘 작동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1928년부터 연간 S&P500 수익률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해 이 두 가지 전략이 각각 40년 동안 어떻게 수행되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만약 시장이 몇 년 연속 플러스를 보인다면, 매년 1천 달러의 현금을 축적한 뒤, 시장이 마이너스 해를 겪은 다음 모아놓은 현금을 모두 S&P500 인덱스 펀드에 투자합니다. 결과를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Test 결과 :
적립식 투자 vs 마켓 타이밍 투자
적립식 투자 전략을 사용하면, 시장이 작년에 어떠했는지 상관없이 투자했기 때문에 S&P500 인덱스 펀드에 천 달러를 투자했습니다. 마켓 타이밍 전략을 사용하면, S&P500 지수가 1928년 이전해 45.56%의 수익률을 기록했으므로 천 달러를 투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현금으로 보유합니다.
S&P500 지수는 1929년에 마이너스 8.85%를 기록했습니다. 다음 해인 1930년 해에는 다음과 같은 일이 발생합니다. 적립식 투자 전략을 사용하면, 시장이 작년에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상관없이 매년 천 달러를 투자하기 때문에, 여전히 S&P500 인덱스 펀드에 천 달러를 투자합니다.
마켓 타이밍 전략을 사용하면, S&P500이 1929년 이전해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기에, 모아놓은 천 달러를 추가로 투자합니다. 1929년부터 1968년까지 매년 이 과정을 반복했습니다. 최종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적립식 투자 전략을 따르고 매년 초에 천 달러를 투자하면, 마켓 타이밍 전략이 35만 5천554달러를 기록한 것에 비해, 40년 후에는 적립식 투자로 36만 9천719달러가 누적되었을 것입니다.
분석결과 :
적립식 투자 vs 마켓 타이밍 투자
흥미로운 점은, 적립식 투자 전략이 성과를 거두었지만, 두 전략은 실제로 처음 20년 동안 매우 유사한 결과를 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적립식 투자 전략은 23년경 선두를 차지했고, 40년 기간이 끝날 때까지 앞서 나갔습니다.
192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모든 40년 동안 같은 분석을 반복했습니다.
총 40년 기간인 51개 중 34개에서 적립식 투자 평균이 월등히 높았습니다. 적립식 투자 전략의 평균 최종 수익률은 마켓 타이밍 전략보다 2.5% 높았습니다. 그리고 적립식 투자의 평균은 40년 중 17년을 능가했습니다.
적립식 투자가
수익률이 더 뛰어난 이유
이 분석에서 우리는 적립식 투자가 대부분의 장기 투자 기간 동안 단순한 마켓 타이밍 전략을 능가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같은 성과에 대한 주요 설명은, 주식시장이 부정적인 해보다 긍정적인 해를 더 많이 경험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주식시장이 현금에 비해 특정 연도에 더 높은 수익을 제공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현금으로 보유하고 시장에서 벗어나 있으면 실적이 저조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합니다. 긍정적인 한 해를 보낸 후에 가만히 있는 것이 이론적으로는 좋은 생각처럼 보이지만, 주식시장은 몇 년에 걸쳐 천천히 상승하며, 10년 정도마다 가끔 경기 침체가 발생한다는 점도 단순한 사실입니다.
이것은 또한 시장이 몇 년 연속으로 긍정적인 흐름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즉 부정적인 해를 기다리는 투자자는 종종 예상보다 더 오래 기다리게 됩니다.
적립식 투자전략 =
시장에 남아있는 투자
대부분의 투자자는 간단한 적립식 투자 전략을 따름으로써 복잡한 마켓 타이밍 전략을 능가할 수 있습니다. 전년도의 시장 실적이 어떻든 매년 꾸준히 투자하세요. 시장에 타이밍을 맞추려고 시도했을 때보다 수십 년 후에 더 많은 돈을 갖게 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부의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 투자의 힘(사례를 보여주는 데이터) (0) | 2023.08.28 |
---|---|
10억을 만들때 투자수익 비중은 얼마나 차지할까요? (0) | 2023.08.27 |
주린이의 최고 투자전략(분할 적립식 인덱스 펀드) (0) | 2023.08.25 |
주식 투자자가 저지르는 가장 큰 실수 (0) | 2023.08.24 |
참을성(인내심) 있는 투자가 중요한 이유 (0) | 2023.08.23 |